실손 세대 구분 총정리

🩺 실손보험 세대별 총정리

1세대 (구 실손, 표준화 이전 / 2009년 9월 이전)

  • 특징: 보험사별 약관 상이, 자기부담금 거의 없음(100% 보장)

  • 보장범위: 급여·비급여 모두 거의 전액 보장

  • 문제점: 도덕적 해이(소액진료 남용)로 손해율 급증

  • 전환권: 2세대 이후 실손으로 전환 가능


2세대 (표준화 실손 / 2009년 10월~2017년 3월)

  • 특징: 표준약관 도입으로 보험사별 동일 보장

  • 자기부담금: 급여 10~20%, 비급여 20%

  • 보장: 입원·통원 구분, 특약으로 비급여 보장

  • 장점: 안정적 구조, 전환 가능


3세대 (신실손 / 2017년 4월~2021년 6월)

  • 특징: 급여·비급여 분리형 구조 (급여 1형, 비급여 2형)

  • 자기부담금: 급여 10~20%, 비급여 30%

  • 할인·할증 제도: 보험금 청구 실적에 따라 보험료 차등 적용

  • 장점: 의료이용량이 적으면 보험료 할인 가능


4세대 (현행 실손 / 2021년 7월 이후)

  • 핵심: 급여 1형 + 비급여 3종 분리(도수치료·비급여주사·MRI 등)

  • 자기부담금: 급여 20%, 비급여 30~50%

  • 보험료 인센티브:

    • 2년간 보험금 청구 ‘0원’이면 50% 할인

    • 이용량 많으면 최대 300% 할증

  • 전환 기준: 이전 세대 가입자도 전환 가능 (보험사별 안내 필요)

  • 우체국 기준: 급여실손의료비보험(2504)간편실손의료비보험(2504)이 해당


🧭 정리 요약

구분출시 시기급여/비급여 구분자기부담금할인·할증비고
1세대~2009.09없음없음없음100%보장, 종료
2세대2009.10~2017.03없음급여10~20% 비급여20%없음표준화 첫 세대
3세대2017.04~2021.06있음 (2분리형)급여10~20% 비급여30%있음청구이력 반영
4세대2021.07~현재있음 (3분리형)급여20% 비급여30~50%있음할인·할증 강화

답글 남기기